본문 바로가기
알아두면 돈되는 정보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, 신청기간 (Feat. 3500만원 만들기)

by Pakira 2024. 2. 28.

 

2030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국가가 만든 '청년도약계좌'의 신청방법, 신청기간과 3500만원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매달 70만원 이내60개월(5년) 동안 자유롭게(어떤달은 20만원, 어떤달은 70만원 다르게도 적립가능) 적립하면 이자와 매월 최대 6%의 정부기여금을 합하여 받을 수 있는 적금상품입니다.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있어 일반 적금(비과세 아닐 때 이자에 15.4% 세금을 내야 함)에 비해 훨씬 유리한 상품입니다. 

 

청년도약계좌로 3500만원 목돈 만들려면?

매달 50만원을 5년 적립하고 해당은행 이율이 6%(각 은행의 우대금리까지 받으면 6% 가능)라고 가정한다면

 

네이버 금융계산기로 알아본 만기 수령액

 

 

 

 

여기에 정부기여금(나의 총급여가 4800만원 이하일 때 적립액의 60만원까지 3.7%은 1,320,000원이 추가되며,

5년 후 받게 되는 총금액은  35,895,000원이 됩니다. (실제와는 차이가 날 수 있으니 예측만 가능합니다)

청년도약계좌 _정부기여금 매칭 비율

 

정부기여금은 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 가령 본인의 총급여가 5000만원이면 매칭 비율이 3%,  매달 50만원을 적립하기로 했다면 매달 정부에서 500,000 X 0.03 = 15000원을 더 넣어주는 셈입니다.  본인의 적립금액을 정했다면 네이버 금융계산기로 계산해보고 위의 표를 통해 정부기여금까지 합하면 수령액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. (실제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으니 예측용으로만)

 

신청방법 및 신청기간

필요서류는 따로 없으며 신청부터 개좌 개설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미리 신청기간을 숙지 하고 있어야 합니다.

신청기간 2월 22(목)~3월 8일(금)이고, 매월 신청기간과 세부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https://www.kinfa.or.kr) 공지사항 에서 PDF 파일로 안내 합니다.

[매월] 가입신청 - 취급은행 앱 

 

[신청 후 약 2주] 가입심사 – 서민금융진흥원

 

[다음달 초] 계좌개설 - 취급은행 앱
 
 

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신청기간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사회초년생들이 목돈 모으기가 쉽지 않지만 본인이 무리하지 않고 매월 적립이 가능한 금액으로 꼭 목돈 모으기에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. 중간에 포기(해지) 하지 않고 목돈이 만들어지는 기간 동안 경제와 투자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여 5년 후에 원금+이자+ 정부기여금까지 수령한다면 그것이 바로 종잣돈의 시작일 것입니다. 

 

 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지원 자격과 유의사항 24년 3월 업데이트 (Feat. 5000만원 만들기)

이번에는 청년도약계좌의 지원자격과 유의사항, 그리고 5000만원을 어떻게 만기해지 시 받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지원자격 나이는 19세~34세까지 가능하며 군복무자에 한해서 6년까지 나이에

fwellbeing.tistory.com

 

 

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방법

정부는 지난 2022년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의 만기를 앞둔 분들을 위해 청년도약게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. 2~3월 중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2~4월 중 청년도약계좌 연계가입 신청

fwellbeing.tistory.com